전경사전
사관
사관(舍館) = 하숙(下宿) 用例) 사관을 잡다/내일 일찍이 내려가서 제각기 사관을 정하자. 한 사관에 두 사람 혹은 세 사람씩 묵도록 하고…. ≪김동인, 젊은 그들≫ 하숙(下宿) ① 일정한 방세와 식비를 내고 남의 집에 머물면서 숙식함. 또는 그런 집 ② 값싼 하급 여관 ꄵ 자취(自炊) 用例) 하숙을 구하다/하숙을 치다/은행에 취직이 되면서부터 윤구는 하숙을 얻어 나와 자립 생활을 시작했다.≪황순원, 나무들 비탈에 서다≫/그는 새로운 출발의 첫걸음으로 환경을 바꾸기 위하여 조용한 하숙으로 거처를 옮겼다 |
사기
흙을 원료로 하여서 구워 만든 그릇 1.사기(沙器/砂器) : [명] = 사기그릇. 세상 사람들은 흔히 사기를 굽는 비법이나 숨은 이치가 따로 숨어져 있는 줄 알지만….≪이청준, 불을 머금은 항아리≫사기 접시를 죽으로 엎칠 것 같다 한 죽이나 되는 많은 사기 접시를 단번에 엎어서 깰 것같이 야단이라는 뜻으로, 당장 어떤 큰일을 치를 듯이 들볶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. 사기그릇 : [명] 흙을 원료로 하여서 구워 만든 그릇. = 사그릇 • • 자기(瓷器).(표준국어대사전, 국립국어연구원, ㈜두산동아, 2000) |
사두 용미
글자적인 뜻은 뱀 머리에 용꼬리이다. 이 말은 용두사미(龍頭蛇尾)에 반대되는 용어로 쓰였는데, 시작은 보잘 것 없지만 일이 진행되어 갈수록 크고 훌륭해진다는 뜻을 나타낸다. ◈EnCyber 두산세계대백과사전 용두사미(龍頭蛇尾) 이 말은 송(宋)나라 사람 환오극근이 쓴《벽암록》에 나온다.육주(陸州)에 세워진 용흥사(龍興寺)에는 이름난 스님인 진존숙(陳尊宿)이 있었다. 그는 도를 깨치러 절을 떠나 여기저기 방랑하면서 나그네를 위해서 짚신을 삼아 길에 걸어 두고 다녔다고 한다. 진존숙이 나이 들었을 때의 일이다. |
사략
중국 남송(南宋) 말에서 원(元)나라 초에 걸쳐 활약했던 증선지(曾先之)가 편찬한 중국의 역사서.원명은 《고금역대 십팔(古今歷代十八史略)》이다. 《사기(史記)》 《한서(漢書)》에서 시작하여 《신오대사(新五代史)》에 이르는 17종의 정사(正史), 송대(宋代)의 《속송편년자치통감(續宋編年資治通鑑)》 《속송중흥편년자치통감(續宋中興編年資治通鑑)》 등 사료(史料)를 첨가한 십팔사(十八史)의 사료 중에서, 태고(太古) 때부터 송나라 말까지의 사실(史實)을 발서(拔書)하여 초학자를 위한 초보적 역사교과서로 편찬하였다. 원 |
사명기
사명기(司命旗) 1. 조선시대 군대의 각 영(營)에서 대장(大將), 유수(留守), 순찰사, 절도사, 통제사가 등이 휘하 군대를 지휘하는 데 사용한 군기(軍旗) 사명기(司命旗) : ꃃ ①〖민속〗제주 무당들이 신이 내리기를 빌 때에 쓰는 기. ≒사명. ②[역사] 조선시대에, 각 군영(軍營)의 대장(大將), 유수(留守), 순찰사, 통제사가 휘하의 군대를 지휘하는 데에 쓰던 군기(軍旗). 기의 바탕 색깔은 각 대장의 방위에 따라 다르며, 가운데에는 진영의 이름에 따라 "○軍司命"이라고 썼고, 오색 비단의 드림과 영 |
사문
전주부성(全州府城)의 동서남북에 있던 네 개의 문 참고 문헌 ◈ 『한국의 풍수사상』, 최창조, 1996, 민음사, pp265~266 전주부성(全州府城)은 조선초기에 도관찰사 최유경에 의해 축조된 것으로 그후 1734(영조 10)년 조현명에 의해 개축된다.『 전주부성(全州府城) 오늘날 없어졌으나 그 윤곽은 대체로 현재의 중앙동우체국을 중심으로 반경 약 500m의 원형에 근사한 것으로 조사되었다. 동문(東門)은 현재의 동문사거리이며 이곳에서 경기전(慶基殿)을 안쪽으로 끼고 성곽을 축조, 현존하는 풍남문(豊南門)에 |
사물탕
숙지황(熟地黃)ㆍ백작약(白芍藥)ㆍ천궁(川芎)ㆍ당귀(當歸)를 넣어서 달여 만드는 탕약. 혈(血)과 관련된 병에 처방되는 이 사물탕은 한방처방 중에서 가장 기본적인 것이다. |
사사
스승으로 섬김. 또는 스승으로 삼고 가르침을 받음. |
사설
그릇되고 간사한 말. 또는 올바르지 않은 논설. |
사옥소리
형옥(刑獄)에 관한 일을 맡은 하급 관리. |